꿈을 하나씩 이루어 나간다는 건 인생살이에 커다란 행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지난해 안나푸르나를 다녀온 후로 다음에는 차마고도에 도전해야겠다는 생각으로
하나의 꿈을 더 만들어 왔습니다.
다리 힘 있을 때 나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었일까?
더 힘들기 전에 하나씩 차근차근 도전해보자라고 생각하고......
차마고도로 향하는 스케쥴 잡기가 힘들던 차에 지인으로부터 실크로드 여정의
제안을 받았습니다.
망설임없이 okey!
(실크로드 개략)
비단길(Silk Road)이라고 일컫는 실크로드는 고대 중국과 서역 각국 간에 비단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무역을 하면서 정치ㆍ경제ㆍ문화를 이어 준 교통로의 총칭이다.
총길이 6,400㎞에 달하는 실크로드라는 이름은 독일인 지리학자 리히트호펜(Richthofen, 1833~ 1905)이
처음 사용했다.
중국 중원(中原) 지방에서 시작하여 허시후이랑(河西回廊)을 가로질러 타클라마칸 사막(Taklamakan Desert)의
남북 가장자리를 따라 파미르(Pamir) 고원, 중앙아시아 초원, 이란 고원을 지나 지중해 동안과 북안에 이르는 길이다.
옛날 로마인들은 동쪽 어딘가에 황금 섬(중국)이 있다고 믿었고, 중국 또한 서역에 대해 항상 궁금해 했다.
그러나 정작 동양과 서양은 BC 100년까지도 서로 간에 교류가 없었다.
이러한 교류를 가로막고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타클라마칸 사막과 파미르 고원과 같은 자연 장애물과
이슬람인들의 방해 때문이다.
실크로드가 처음 열린 것은 전한(前漢: BC 206~AD 25) 때이다.
한 무제(武帝)는 대월지(大月氏), 오손(鳥孫)과 같은 나라와 연합하여 중국 북방 변경 지대를 위협하고 있던
흉노를 제압하고 서아시아로 통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길 원했다.
BC 139년 장건(張騫)은 100여 명의 수행원을 데리고 장안을 떠났지만 얼마 가지 못해 흉노에게 붙잡히고 만다.
그는 그곳에서 약 10년 동안 허송세월을 보낸다.
그러던 어느 날 통역인 깐후(甘父)와 탈출하여 파미르 고원 너머에 있는 페르가나(Fergana)국을 거쳐 당초
목적지인 대월지국(大月支國)에 도착하였다.
하지만 많은 세월이 흘러 대월지국은 동맹을 원치 않았다.
그래서 대월지국에 머무는 1년 동안 여러 가지 자료를 수집한 후 본국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다.
장건이 서역으로 갈 때는 타클라마칸 사막 북쪽 길을 이용했지만 돌아 올 때는 그 남쪽 길을 택했다.
도중에 티베트족에게 붙잡혀 1년 동안 고생하기도 했지만 BC 126년에 돌아왔다.
대월지국과 동맹을 맺는 데는 실패했지만, 그의 경험과 자료가 워낙 중요하기 때문에 한 무제는 치하 했다고 한다.
한 무제는 장건의 귀국 보고를 아주 흥미롭게 생각하였다.
서역에는 명마가 있고, 금은전을 사용하는 나라가 있고, 중국(한)의 특산품인 칠기와 비단을 사고 싶어 하는
나라도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대월지, 강거, 오손 등 군사력이 강한 유목 민족들을 흡수해서 한나라를 세계의 강국으로
끌어 올리고 싶어 했다.
당시 중국과 서역 사이에 낀 간쑤성(甘肅省)은 흉노가 다스리고 있었는데 장건은 그들을 피해 쓰촨성(四川省),
윈난성(雲南省)을 거쳐 인도로 가는 길을 개척하고자 했다.
그래서 부하들을 여러 차례 보냈지만 모두가 실패하고 말았다.
그 후 장건은 흉노족을 몰아내고 그 자리에 오손을 이주시키려고 직접 부하 300명을 이끌고 오손(wuson)으로
갔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한나라로 돌아 온 장건은 이듬해인 BC 114년에 죽고 말았다.
한무제는 BC 104년부터 101년까지 페르가나국에 군사를 보내어 왕의 목을 치고,
남북실크로드의 중요한 길목에 자리한 누란(樓蘭)도 정복하였다.
마침내 BC 60년에는 흉노마저 굴복시킴으로서 서역을 완전히 손에 넣게 되었다.
이때부터 중국의 비단은 본격적으로 로마까지 팔려 나갔다.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기린, 사자와 같은 진귀한 동물과 호마(胡馬: 말), 호두, 후추, 호마(胡麻: 깨)
등이 전해졌고, 유리 만드는 기술도 전해졌다.
중국에서는 비단, 칠기, 도자기같은 물품과 양잠, 화약 기술, 제지 기술 등이 서역으로 건너갔는데,
특히 종이 만드는 기술이 서역으로 건너가서 중세 유럽의 암흑기를 밝혀 인쇄술 발달과 지식 보급에
원동력이 되었다.
이후 둔황(敦煌)을 비롯한 4군데에 요새를 세워 장사 길을 보호했는데, 이때부터 서역으로 통하는
실크로드가 훤히 뚫렸으며 1년에 5~10번씩 장사꾼들이 오갔다.
장건이 서역을 처음 개척한 이래 중국의 역대 왕조는 중앙아시아 및 서아시아 여러 나라와 빈번히 교류하였다.
그러므로 실크로드는 상업적인 면뿐만 아니라 동서 문화의 교류라는 면에서 역사적으로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
한편 많은 스님들이 경전을 구하러 실크로드를 따라 인도로 들어갔고, 인도의 승려들도 경전을 가지고
중국에 많이 들어왔다.
그러므로 중국 불교가 발전하게 된 데에는 인도와 중국을 연결시켜준 실크로드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
실크로드가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당대(唐代: 618~907)였는데,
현재는 파키스탄과 중국의 신장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吳爾自治區)를 잇는 포장도로에 일부 남아 있다고 한다.
(여행개략)
1. 일자 : 2016.05.19일(목) ~ 2016.05.30(월) 11박12일
2. 여행지 : 실크로드 일부분
부산 김해공항 ~ 북경(항공) ~ 시안 ~ 천수 ~ 난주 ~ 무위 ~ 장액 ~ 주천
~ 가욕관 ~ 돈황 ~ 유원 ~ 선선 ~ 투루판 ~ 우루무치 ~ 북경 ~ 부산
3. 누구와 : 모객인원 17명 +인솔자 1명
4. 여행사 : 부산 JM투어(김종민사장 051-555-8288, 010-9941-7114)
5. 여행비 포함사항
♣ 국제선 항공료 - 항공TAX(전쟁보험료, 김해공항세, 관광진흥개발기금, 현지공항세)
♣ 전 일정 호텔 숙박(4 ~ 5성급/2인1실 기준)
♣ 전 일정 식사(호텔식, 현지식,특식)
♣ 전용차량 및 열차(유원 → 선선/4인 1실 기준)
♣ 관광지 입장료
♣ 한국어 가이드
♣ 전문 인솔자
♣ 1억원 해외여행자 보험(동부화재)
♣ 유류할증료
6. 불포함 사항
♣ 중국 단체비자비 35,000원
♣ 기사/가이드 팁 120$/인
♣ 개인적인 기타 비용(음료 등)
7. 쇼핑 : 투루판포도농가 1곳 방문
8. 특징
♣ 호텔
-돈황 : 5성급 호텔 투숙
- 서안, 천수, 중위, 장액, 투루판, 우루무치 정4성급 ~ 준5성급 호텔 투숙
♣ 식사
- 현지식 : 중국요리 및 한국요리(실크로드에는 서안등 대도시외에는 불가함)
- 특식 : 돈황(낙타발 요리), 투루판(양 바베큐)
♣ 이동
- 항공 : 중국 국제항공(CA) 이용
- 열차 : 유원 ~ 선선(열차 숙박/4인 1실)
9. 여행 일정
(제1일, 05/19일,목)
부산 김해 CA130 10;30분 집결 김해국제공항 2층 중앙안내센타앞 집결
12:45/14:05 부산 출발/북경 도착, 가이드미팅
북경 전용차량 북경 예술의 중심인 798예술구 방문
석식후 공항으로 이동
서안 CA1205 20:45/22:50 북경 출발/서안 도착
호텔 투숙/휴식(해성호텔★★★★)
(제2일, 05/20일, 금)
서안 전용차량 07:30~ 전일 서안 호텔에서 아침식사
▶ 법륜사 탐방
석가보니 지골사리를 모시고 초 현대화 된 중국 대표 사찰로
17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사찰임(경내 전동차로 이동함)
중식 : 현지식으로 법문사에서 사찰음식 식사
천수 전용차량 약 3시간30분 실크로드 관문, 물 좋은 고장 천수로 이동
▶ 중국 4대 석굴로 보존 상태가 아주 양호한 맥적산 석굴 탐방
석식 : 현지식
호텔 투숙/휴식(천수 화천 호텔★★★★)
(제3일, 05/21일, 토)
천수 전용차량 08:30~ 전일 호텔 조식후
▶거대한 유가협댐으로 이동, 유가협에서 고속보트를 타고
황화석림감상
중식 : 현지식으로 식사
▶ 황화석림과 함께 어울린 중국 5대 석굴 병령사 석굴 탐방
난주 전용차량 약 4시간 이동 난주로 이동
석식 : 현지식
석식후 호텔 투숙/휴식(난주 란석호텔★★★★)
(제4일, 05/22일, 일)
난주 전용차량 08:00~ 전일 호텔 조식후 경태로 이동
중식 : 현지식
경태 전용차량 ▶황화지역의 그랜드캐년 경태석림 트레킹
구간버스, 전동차, 양피로 만든배, 나귀차 등 체험
무의 전용차량 약3시간 이동 무의로 이동
석식 : 현지식
석식후 호텔 투숙/휴식(무의 서일국제호텔★★★★)
(제5일, 05/23일, 월)
무의 전용차량 08:00~ 전일 호텔 조식후 장액으로 이동
장액 전용차량 ▶최대와불을 보유중인 대불사 탐방
중식 : 현지식
▶ 단하지모와 채색구릉이 조화를 이룬 칠채산 풍경 감상
가욕관 전용차량 약2시간 이동 가욕관 이동
석식 : 현지식
석식후 호텔 투숙/ 휴식(가욕관 주강호텔★★★★)
(제6일, 05/24, 화)
가욕관 전용차량 08:00~ 전일 호텔 조식후
▶ 만리장성의 서쪽관문, 사막위에 우뚝 선 가욕관 성루 탐방
중식 : 현지식
돈황 전용차량 약 2시간이동 석식 : 재래시장에서 양꼬치로 식사
석식후 호텔 투숙/휴식(돈황 태양호텔★★★★)
(제7일, 05/25, 수)
돈황 전용차량 09:00~ 전일 호텔 조식후 옥문관으로 이동(3시간 이동)
중식 : 현지식(야단지모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식당 이용)
▶ 동서 25km, 남북 5km의 더넓은 고비사막에 기묘한 모습의
작은 바위동산들이 늘어서있는 야단지모 탐방 (자체 버스 이용)
▶ 과거 실크로드의 중국국경 역할을 한 옥문관 탐방
▶ 돈황고성 탐방(영화 촬영세트임)
석식 : 현지식(낙타발 요리)
석식후 호텔 투숙/휴식(돈황 태양호텔★★★★)
(제8일, 05/26, 목)
돈황 전용차량 08:30~ 전일 호텔 조식후
▶중국 3대석굴의 하나로 돈황 불교예술의 결정체인 막고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탐방
중식 : 현지식
▶바람이 불면 우는 소리를 내는 명사산(鳴沙山)의 월아천 탐방 및
낙타타기 체험
석식 :현지식
석식후 유원역으로 이동
유원 k1583 22:20~ 야간 선선행 야간열차 탑승 및 휴식(4인 1실 침대차)
(제9일, 05/27, 금)
선선 전용차량 06:00~ 전일 선선 도착하여 시내로 이동(약 40분)
▶ 타클라마칸 사막의 끝에 위치한 사구가 아름다운 쿠무타크 사막에서
사막찦차를 타고 사막의 아침 체험
조식 : 현지식
중식 : 현지식
투루판 전용차량 약1시간 이동 ▶서유기 무대의 한 곳인 화염산 감상
▶ 투루판 현존하는 최대 석굴 사원인 베제크리크 천불동 탐방
▶ 기원전 1세기에 세워져 고창왕국, 서주 등 1300여년간 존재했던
고창고성 탐방(전동차 이용)
▶ 고창국, 당나라 귀족의 공동묘지인 아스타나 고분군 탐방
▶ 신강성 최대의 이슬람 건축물인 소공탑 탐방
▶ 위그루족 포도 농가집 방문
석식 : 양바베큐로 석식하며 위그루족 민속공연 관람
석식후 호텔 투숙/휴식(투루판 화주호텔★★★★)
(제10일, 05/28, 토)
투루판 전용차량 08:00~ 전일 호텔 조식후
▶ 옛투루판 지역의 소왕국 교하고성 탐방
▶ 고대 중국의 3대 대공사 중 하나로 꼽히는 고대 수리시설인
카레즈 탐방
중식 : 현지식
우루무치 전용차량 약 3시간 이동 ▶ 이동중 염호, 풍력발전소 차창 관광
▶ 실크로드 여정을 한 눈에 정리할 수 있는 신강박물관 탐방
석식 :현지식
석식후 호텔 투숙/휴식(우루무치 지왕국제호텔★★★★)
(제11일, 05/29, 일)
우루무치 전용차량 약2시간 이동 호텔 조식후 천산 천지로 이동
▶ 천산 천지 관광(공원버스, 전동카, 유람선 탑승)
천산 천지는 백두산 천지와 더불어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산중호수로 해발 1,980m, 면적 4.9㎢인데 버그다봉(5,445m)의
만년설봉과 함께 아름다운 경치를 보여준다.
중식 :천산 천지에서 현지식
석식 : 공항에서 란주 우육면으로 채움
북경 CA1478 1915/2250 우루무치 출발/ 북경 도착
북경 도착후 호텔투숙/휴식(임공지선홀리데인★★★★)
(제12일, 05/30, 월)
북경 전용차량 06:30 도시락으로 이동중 조식
부산 CA129 0825/1145 북경출발/부산도착 해산
(2016.05.19.목 : 제 1일째)
▼ 10:44 부산 김해 국제공항에 도착하여 탑승 수속을 합니다.
▼ 11:13 여행기간이 길어서 캐리어 부피가 좀 큼직합니다.
▼ 12:07 우리가 타고갈 중국국제 항공사의 CA130기 모습입니다.
▼ 14:26 부산발 북경행 기내에서 찍은 티켓입니다.
▼ 14:52 북경공항 모습입니다.
▼ 13:35 출국수속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외국인 수속대에 밀려있는 인파입니다. 여기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정말 빠른 수속이 진행되는 것 같습니다.
▼ 16:16 입국수속후 짐을 찾기 위해 대기하고 있습니다.
▼ 16:31 짐을 찾은 후 국내선에서 시안(西安)행 비행기에 다시 짐을 부칩니다.
짐을 부친후 북경 시내로 이동해서 자유시간을 갖기로 합니다.
▼ 16:46 국내선 항공기 시간 여유를 북경시내에서 잠시 보내기 위해 버스에 옮겨 탑니다.
▼ 17:30 중국 북경의 예술 중심거리인 798예술구를 찾았습니다.
마침 촬영중인지 미인들의 현란한 춤구경을 할 수 있었습니다.
(798 예술구 설명)
다산쯔(大山子) 798예술구는 중국을 대표하는 최초의 예술특화지구이다.
베이징 다산쯔 지역에 위치하고, 원래 이곳에 있던 공장의 일련번호가 798이었던 데서
'다산쯔 798예술구'라는 명칭이 탄생했다.
런던 템스 강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테이트 모던(Tate Modern) 갤러리나 뉴욕의 소호(SOHO)
지역과 마찬가지로 버려진 공장지대에 예술가들이 하나둘씩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뒤따라 갤러리가
들어서고 카페와 음식점이 생겨났다.
798이 형성되어 호평을 받기 시작하면서 다른 곳에도 다산쯔를 벤치마킹한 예술촌이 조성되었는데,
베이징 쑹좡(宋庄)예술구와 상하이(上海) M50예술구 등이 그 예이다.
원래 이곳은 구소련과 동독의 지원 아래 1954년에 설계를 시작해 1957년에 착공되었던
전선(電線)공장 지대였다.
냉전 시기 이후 점차 공장이 도시 외곽으로 이전함에 따라 원래의 798공장이 기존의 700, 706, 707,
718, 797 등 6개 공장을 합병한 후, 남은 공장 건물 일부를 세 놓기 시작하였다.
2002년, 중국 현대미술을 외국에 알리는 데 앞장섰던 미국인 로버트 버넬(Robert Bernell)이
최초로 입주한 이래 많은 예술가들이 점차 이곳의 넓은 공간과 저렴한 임대료에 매료되어 입주해 들어와
작업실과 전시공간으로 꾸미기 시작했고, 이것이 시초가 되어 오늘의 798이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2005년, 중국 정부는 국가정책에 따라 이곳을 철거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2006년 들어 정책을 변경해 798예술구를 '문화창의산업특구'로 공식 지정했다.
'제11차 5개년 경제사회발전계획'에 따라 '성장의 질'을 중시하게 된 중국 정부는 연례화된
다산쯔국제예술제(DIAF)와 798비엔날레 등으로 인해 국제적 예술 인파가 모여드는 이곳을 오히려 예술특구로
발전시키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에 힘입어 점차 더욱 많은 서비스, 문화 오락 등의 각종 시설이 출현했고 그 후 국내외 갤러리, 예술서점,
아틀리에, 카페, 커피숍, 레스토랑 등 도시적 색채를 띤 요소들도 속속 입주하게 되었다.
이후 2008년 베이징올림픽 준비기간 동안, 지역을 당대 예술의 새로운 문화 아이콘으로 발전시키고자 한
베이징 시 당국의 결정에 따라 대대적인 지원과 정비가 이루어졌다.
그결과 오늘에 이르러 국내외의 수많은 관광객이 운집하는 새로운 문화관광 공간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798에 들어서면, 사시사철 언제나 당대 최고의 미술 작품이나 공연들을 만끽할 수 있다.
798은 확실히 만리장성이나 고궁박물원과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물씬 느낄 수 있어, 중국이 지닌 또 다른
저력을 확인하게 되는 공간이다.[네이버 지식백과] 다산쯔(大山子) 798예술구
▼ 17:30 주차장과 대형 조형물 전경입니다.
▼ 17:30 798예술구 중앙에 위치한 조형물입니다.
▼ 17:43 대형 조형물입니다.
▼ 18:06 시설물 공사하는 줄 알고 바라본 조형물입니다.
▼ 18:53 북경 시내에서 첫 중국 현지식 식사를 합니다. 그런대로 맛있습니다
▼ 19:52 석식후 시안으로 이동하기 위해 다시 북경공항에 도착했습니다.
▼ 23:41 밤늦게 시안 공항에 도착했습니다.
▼ 24:05 짐을 찾아 시안 공항에서 숙소를 이동합니다.
공항 터미날 위에는 시안(西安)이란 글씨가 선명하게 붙어 있습니다.
'해외산행 & 여행 > 해외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05.19 ~ 05.30 실크로드 11박12일 일정(5/22일 4일째,황화지역 경태석림) (0) | 2016.06.15 |
---|---|
2016.05.19 ~ 05.30 실크로드 11박12일 일정(5/20~21일 2~3일째,서안,천수,란주) (0) | 2016.06.15 |
2015.09.07~08 일본 대마도 여행 (0) | 2015.09.11 |
2015.07.08 ~ 07.13 중국 황룡/구채구/서안 여행 (0) | 2015.07.15 |
2015.07.02 ~ 07.05 홍콩/마카오 여행 (0) | 2015.07.07 |